※"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책을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의 글입니다.※
1.1.1 구성요소로 본 인터넷
인터넷을 설명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이다.
인터넷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통해 인터넷을 설명한다.
-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터를 비롯한 모든 TV, 게임 콘솔, 가전제품과 같은 장치들을 호스트(host) 또는 종단 시스템(end system)이라고 한다.
- 구리선, 광케이블과 같은 통신 링크(communication link)와 패킷 스위치(packet switch)는 그런 종단 시스템을 연결해서 네트워크를 만든다.
- 링크는 전송률(transmission rate, 링크 대역폭)을 가지고 있고, bps라는 단위를 가진다.
- 패킷 스위치는 입력 통신 링크 중 하나로 도착하는 패킷을 출력 통신 링크 중 하나로 전달한다. 라우터와 링크 계층 스위치가 있다.
- 패킷이 종단 시스템에서 다른 종단 시스템으로 전달될 때 거치는 일련의 통신 링크와 패킷 스위치를 경로(route or path)라고 한다.
-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ISP는 인터넷 연결을 제공해주는 제공자로, 여러 레벨의 ISP가 존재한다.
- 인터넷이라는 것은 모든 종단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여러 ISP들은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 인터넷에는 상호 호환을 위해 여러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TCP와 IP 프로토콜이 있다.
1.1.2 서비스 측면에서 본 인터넷
인터넷을 설명하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이다.
분산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킹 기반 구조 관점에서 인터넷을 설명한다.
- 분산 애플리케이션(distributed application)
인터넷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의 매우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다.
이들은 여러 종단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분산 애플리케이션(distributed application)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종단 시스템 사이를 잇는 링크와 패킷 스위치는 데이터만 전달 할 뿐, 애플리케이션에는 관심이 없다.
인터넷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을 위한 플랫폼으로 볼 수 있다. - 종단 시스템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소켓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종단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1.1.3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
프로토콜이란 의사소통을 위해 서로가 기대하는 행동 양식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은 둘 이상의 개체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정의한 규칙과 절차를 말한다.
이 책의 나머지 부분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내용이 될 것이다.
'CS > 컴퓨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향식 접근 8판] Chapter 2 애플리케이션 계층 - 2.4~ (0) | 2024.10.16 |
---|---|
[하향식 접근 8판] Chapter 2 애플리케이션 계층 - 2.1~2.3 (2) | 2024.10.16 |
[하향식 접근 8판] 1.5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 (0) | 2024.09.19 |
[하향식 접근 8판] 1.4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 손실과 처리율 (1) | 2024.09.14 |
[하향식 접근 8판] 1.3 네트워크 코어 (0) | 2024.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