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챌린지14 [운영체제 공룡책] Chapter 1. 서론 Introduction ※운영체제 공룡책 10판을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의 글입니다.※Part 1. 개관(Overview)Chapter 1. 서론 Introduction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이를 프로그램에 할당하는 소프트웨어이다.운영체제 자체는 유용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운영체제는 단순히 다른 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장치 컨트롤러(CPU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인터럽트를 통해 장치 드라이버(운영체제의 일부)에게 입출력 작업을 완료했다는 사실을 알린다.하드웨어는 어느 순간이든 시스템 버스를 통해 CPU에 신호를 보내 인터럽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인터럽트는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의 상호 작용 방식의 핵심 부분이다.CPU가 인터럽트 되면 CPU는 하던.. 2024. 11. 27. [파일시스템] ext4 - (1) 기본 구조 목차1 리눅스의 파일시스템2 ext4 (extended file system 4) 2.1 기본 특징 2.2 전체 구조1 리눅스의 파일시스템리눅스의 파일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다. 단일 트리구조를 갖고, 다른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면 이 단일 트리에 연결된다.파일 시스템의 개념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로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한다.디렉터리는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 다른 디렉터리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루트 디렉터리(/)는 리눅스 파일시스템의 최상위 디렉터리로, 리눅스에서 모든 디렉터리와 파일은 루트(/) 아래에 위치한다.파일 경로(path)는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로,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가 있다.파일 시스템의.. 2024. 11. 25. [파일시스템]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란? 목차1 파일시스템이란?2 파일시스템의 구조와 구성요소1 파일시스템이란?파일시스템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핵심 기능 중 하나로, 저장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체계를 말한다.여기서 저장장치는 물리적 저장장치를 말하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디렉터리와 파일로 관리된다. 대표적인 파일시스템으로는 Windows의 NTFS, Linux의 ext4, macOS의 APFS, 그리고 네트워크 스토리지에 사용되는 NFS 등이 있다.2 파일시스템의 구조와 구성요소파일시스템은 디렉터리와 파일 이름을 통해 inode(ext4) 등 메타데이터를 찾고, 데이터를 읽거나 저장할 블록 주소를 확인하여 접근한다.파일 (File)파일시스템의 기본 단위이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테이너이다.디렉터리 (Direct.. 2024. 11. 23. [Java 자바] '...' 가변인자(Varargs) 1 필요성함수의 매개변수로 정해진 수가 아니라 가변 개수의 인자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이때 '...'을 사용하면 함수에서 받을 매개변수의 수를 미리 정하지 않아도 된다.2 문법void test(int... test)위와 같이 함수의 매개변수 타입 뒤에 '...'을 붙이면 된다. 특징이렇게 받은 매개변수는 함수 내에서 배열로 처리된다.메서드의 가변인자는 하나만 가능하고 마지막 매개변수만 가능하다.값을 전달하지 않을 수도 있고, 1개 이상 여러개를 전달할 수도 있다.3 예시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1, 2, 3); } public static void test(int... test).. 2024. 11. 21. [컴퓨터구조] 4 프로세서 (4.6 파이프라이닝 개요) ※"컴퓨터 구조 및 설계 6판 MIPS EDITION" 책을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의 글입니다.※4.6 파이프라이닝 개요파이프라이닝(pipelining)은 여러 명령어가 중첩되어 실행되는 구현 기술이다.파이프라이닝의 역설적인 점은 파이프라이닝을 한다고 해서 어떤 작업 하나를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줄일 수 없지만, 여러 작업에 대해서는 전체 걸리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점이다.파이프라이닝에서 속도 향상은 파이프라인 단계 수와 같다. 단계 수가 4단계인 경우에는 속도가 4배 향상될 것이다.하지만 실제로는 파이프라이닝의 시작과 끝 부분에서는 모든 단계가 가득 차있지 않기 때문에 4배의 속도 향상은 될 수 없다. 대신 작업 수가 많을 수록 4배에 근접하게 된다.단일 사이클 구현에서 클럭 사이클은 가장 느린 명령.. 2024. 11. 19. [하향식 접근 8판] Chapter 3 - 3.7 TCP 혼잡 제어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책을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의 글입니다.※3.7 TCP 혼잡 제어3.7.1절에서는 네트워크 지원 혼잡 제어보다는 종단 간의 혼잡 제어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TCP에 대해 알아보고, 3.7.2절에서는 새로운 네트워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명시적 혼잡 지시를 사용하는 TCP에 대해 알아본다.3.7.1 전통적인 TCP의 혼잡 제어TCP에서 혼잡 제어를 위해 송신자는 자신(송신자)과 목적지 간의 경로의 혼잡도에 따라 송신율을 조정한다.이때 다음 세 가지 질문이 생긴다.TCP 송신자는 연결로 트래픽을 보내는 전송률을 어떻게 제한하는가? 흐름 제어를 위해 수신 윈도(rwnd)가 있다면, 혼잡 제어를 위해서는 혼잡 윈도(congestion window)가 있다. rwnd와 다르게 c.. 2024. 11. 1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