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CP3

[하향식 접근 8판] Chapter 3 - 3.7 TCP 혼잡 제어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책을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의 글입니다.※3.7 TCP 혼잡 제어3.7.1절에서는 네트워크 지원 혼잡 제어보다는 종단 간의 혼잡 제어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TCP에 대해 알아보고, 3.7.2절에서는 새로운 네트워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명시적 혼잡 지시를 사용하는 TCP에 대해 알아본다.3.7.1 전통적인 TCP의 혼잡 제어TCP에서 혼잡 제어를 위해 송신자는 자신(송신자)과 목적지 간의 경로의 혼잡도에 따라 송신율을 조정한다.이때 다음 세 가지 질문이 생긴다.TCP 송신자는 연결로 트래픽을 보내는 전송률을 어떻게 제한하는가? 흐름 제어를 위해 수신 윈도(rwnd)가 있다면, 혼잡 제어를 위해서는 혼잡 윈도(congestion window)가 있다. rwnd와 다르게 c.. 2024. 11. 17.
[하향식 접근 8판] Chapter 3 - 3.5 연결지향형 트랜스포트: TCP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책을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의 글입니다.※3.5 연결지향형 트랜스포트: TCP3.5.1 TCP 연결TCP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TCP의 특징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두 프로세스는 핸드셰이크를 먼저 해야 하므로 연결지향형(connection-oriented)이다.TCP에서 연결의 양단은 TCP 연결과 연관된 많은 TCP 상태 변수를 초기화한다.TCP에서 '연결'은 두 통신 종단 시스템의 TCP에 존재하는 상태를 공유하는 논리적인 것이다.TCP '연결'은 회선 교화 네트워크와 같은 TDM이나 FDM이 아니고 두 통신 종단 시스템의 TCP에 존재하는 상태를 공유하는 논리적인 것이다.TCP 프로토콜은 오직 종단 시스템에만 존재한다.중간의 네트워크 요소(라우터, 링크 계층 스위치.. 2024. 11. 9.
[하향식 접근 8판] Chapter 3 트랜스포트 계층 (3.1 ~ 3.2)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8판" 책을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의 글입니다.※3.1절과 3.2절에서는 트랜스포트 계층의 전반적인 역할과 그 중 다중화와 역다중화에 대해 배운다.3.1 트랜스포트 계층 서비스 및 개요트랜스포트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에게 논리적 통신(logical communication)을 제공한다. 논리적 통신은 애플리케이션이 그 아래 단의 메시지 운반의 세부 사항에 상관하지 않고 멀리 떨어져 있는 호스트들이 직접 연결된 것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는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사용해서 목적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로 메시지를 보낸다.송신 측의 트랜스포트 계층은 송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받아서 작은 조각으로 분할하고 캡슐화해서 트랜스포트 계층 .. 2024. 11. 1.